반응형
SMALL
모키토는 외부 환경을 테스트하기 어려울때 쓰는게 아니라 연결 상황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해당 메소드를 쓸때 결과가 true 이면 이렇게 로직이 흘러가고 false 이면 저렇게 동작해야 할 때 true/false 를 바꾸는 환경을 만드는 겁니다. 당연히 결과를 테스트 작성자가 만들었으니 정확합니다. (이게 정확하지 않다면 해당 코드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단, 이렇게 환경을 내가 제어를 했는데, 해당 메소드 자체가 제대로 구현이 안되어 있어서 true 가 올것으로 생각했는데, true 가 아닌 상황이면 전부 꼬이겠죠. 그래서 통합 테스트를 작성합니다.
결론
- 규모가 작으면 테스트를 적게해도 통제가 되겠지만, 규모가 커지면 테스트가 없을 경우 지옥을 맛보실 수 있습니다.
- 단위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는 목적이 다릅니다. 단위 테스트는 연결 다 끊고, 환경을 내가 제어한 상황에서 빠르게 해당 범위내의 코드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 모키토는 내가 제어하는 범위내에서는 정확합니다. 그렇다고 mock한 객체가 정상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https://okky.kr/articles/1399914
OKKY - spring 테스트 케이스 어디까지 작성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지식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먼저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각 계층별로 테스트를 진행하며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인수 테스트 정도 구현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더 많은 테스트
okky.kr
반응형
LIST
'Program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ur Spilca[Java/SpringInAction] (0) | 2023.02.19 |
---|---|
[Java Alpha Geek]Spring/SpringSecurity (0) | 2023.02.19 |
Spring Security 총 55강 (0) | 2023.02.19 |
[Spring] Controller, Service는 왜 분리해야할까? (0) | 2023.02.12 |
Spring REST API custom query param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