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Differences between Project Lead, Project Manager, Topic Lead and Workstream Lead. (v1.2)
codingnature
2024. 3. 31. 12:30
반응형
SMALL
Differences between Project Lead, Project Manager, Topic Lead and Workstream Lead. (v1.2)
Project Lead (Sponsor) | Project Manager | Topic Lead | Workstream Lead |
•프로젝트의 최종적인 성공 또는 실패를 책임진다. •리소스의 가용성(availability) 및 약속(commitment)을 보장한다. |
•프로젝트를 전술적으로 이끌고, 진행 상황을 보고한다. | •토픽 비전을 정의하고, 프로덕트 비전에 따라 전략을 조정한다. | •태스크 진행과 관련된 리소스의 가용성 및 약속을 보장한다. |
•하이 레벨의 방향성과 비전을 제공한다. | •비전 (주로 프로젝트 리드나 프로덕트 매니저)을 이해한다. •프로덕트 비전에 프로젝트 비전을 일관성 있게 문서화한다. |
•토픽 비전 + 전략, 프로젝트 정의를 만든다. •전문가,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이니셔티브의 내용과 범위를 정의한다. •주제와 범위를 지속하는 것이 타당한지 평가한다. •토픽 범위를 지속, 중지 또는 재정의하도록 관리한다. |
•전문가,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워크스트림의 내용과 범위를 정의한다. |
•팀과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전체 전략과 다른 프로젝트와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책임진다. | •상위 관리자 및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데이트 및 정보를 팀에 전달하고 진행 상황에 대한 보고를 담당한다. | •해당 토픽에 관한 전문성, 전략, 딜리버리를 책임진다. | •프로덕트 매니저가 정의한 워크스트림의 목표에 해당하는 전문성, 전략, 딜리버리를 담당합니다. |
•이해 관계자 및 상위 관리자에게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 •프로젝트의 일정과 자원을 실행한다. (생산물 정의, 납품 날짜, 도구, 상위 관리자에 대한 보고, 다른 팀이나 부서와 작업 흐름 조정). | •이니셔티브 또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이해 관계자 및 상위 매니저에게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
•프로젝트 진행에 필요한 워크스트림 관련 사항을 제공한다. |
•프로젝트 플래닝을 계획대로 실행한다. •프로젝트, 토픽, 워크스트림간 종속성을 이해한다. |
•토픽 플래닝과 팀을 관리한다. •프로젝트, 토픽, 워크스트림간 종속성을 이해한다. |
•워크스트림 플래닝과 팀을 관리한다. •프로젝트, 토픽, 워크스트림간 종속성을 이해한다. |
|
•이슈에 대한 에스컬레이션 경로 및 심각한 장애에 대한 도움을 제공한다. | •프로젝트의 위험과 챌린지를 관리한다. | •토픽과 프로젝트의 위험과 챌린지를 관리한다. | •워크스트림에 대한 위험과 챌린지를 관리하고 프로젝트 팀에 보고한다.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사람들을 이끈다. | •프로젝트 관련 팀이 서로 알아갈 수 있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한다. | •주제 영역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다. •기여자 네트워크를 이끌거나 조정한다. |
•프로젝트 매니저가 갖추지 않는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프로젝트 리드보다 더 세부적인 수준에서 제품/토픽의 세부사항을 이해한다. |
•상태, 마일스톤, 프로젝트 플랜, 위험, 예산을 관리한다. •프로젝트의 역동성에 민감하게 행동: 최고 관리자의 비전을 기반으로 팀원들에게 영감을 주고 함께 행동하고 앞으로 나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기여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토픽을 꾸준히 진전시킨다. | •상태, 마일스톤, 프로젝트 계획을 존중한다. | |
•보고된 내용에 따라 최종 결정을 내린다. | •위험과 기대치를 관리한다. •해결책과 타협점을 찾는다. •의사 결정 매트릭스에 익숙해진다: 옵션, Pros & Cons, Plan B, 제안에 대한 규정과 결정 원칙 |
•위험과 기대치를 관리한다. •해결책과 타협점을 찾는다. •의사 결정 매트릭스에 익숙해진다: 옵션, Pros & Cons, Plan B, 제안에 대한 규정과 결정 원칙 |
•위험과 기대치를 관리한다. •해결책과 타협점을 찾는다. •의사 결정 매트릭스에 익숙해진다: 옵션, Pros & Cons, Plan B, 제안에 대한 규정과 결정 원칙 |
•프로젝트 개요 지식을 습득한다. •제네럴리스트, 지원 전문가. 중립적인 목소리/사실의 역할임을 주지한다. |
•토픽에 관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팀원들에 대한 감정 투자 시간을 갖는다. | •도메인 전문성을 확보하고, 팀원들에 대한 감정 투자 시간을 갖는다. |
반응형
LIST